카테고리 없음
파킹통장 금리 비교
skyman
2025. 8. 6. 09:34
2025년 파킹통장 금리 비교: 최신 데이터로 정리
파킹통장이란?
파킹통장은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붙는 자유입출금 통장을 의미하며, 단기 여유 자금 또는 비상금을 안정적으로 굴리면서도 유동성을 챙길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. 최근 금리 환경의 변화에 따라, 시중은행과 저축은행, 인터넷은행에서 공격적으로 상품을 출시하며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.
파킹통장 금리 비교(2025년 기준)
▷대표 시중은행·저축은행·인터넷은행 주요 파킹통장 데이터 (2025년 6~8월 기준)◁
금융사/은행 | 상품명 | 최대 금리 | 금리 적용 | 주요 특성 및 조건 |
OK저축은행 | OK짠테크통장Ⅱ | 최대 7.2% | 50만 원 | 소액(50만 원 이하) 예치 시 우대, 초과분 3.3%/2.5% |
OK저축은행 | OK파킹플렉스통장 | 3.3% | 500만 원 | 500만 원 이하 3.3%, 3억까지 2.8%, 초과 시 1.0% |
에큐온저축은행 | 머니모으기 | 5.0% | 1천만 원 | 조건 충족 시 우대금리 |
토스뱅크 | 기본 통장 | 3.5% | 5천만 원 | 별도 조건 없음, 이자수령 간편 |
모니모(우리은행) | 파킹통장 | 3.0% | 100만 원 | 앱 기반, 무조건 적용 |
카카오뱅크 | 세이프박스 | 2.1~2.5% | 1억 원 | 자유입출금 통장 연동, 통장 분리 가능 |
SC제일은행 | Hi통장 | 최대 4.0% | 500만 원(조건부) | 첫 거래, 마케팅 동의 시 한정 |
전북은행 | 첫거래우대통장 | 3.01% | - | 첫 거래 및 조건 충족 시 |
하나은행 | 주거래우대통장 | 2.3% | 조건 충족 필요 | 급여이체 시 우대 |
페퍼저축은행 | 파킹통장 | 4.0% | 1,000만 원 | 별도 조건 없음, 저축은행 상품 |
DB저축은행 | M-Dream Big 파킹통장 | 4.0% | 5,000만 원 | 조건 없음, 고액 예치 가능 |
NH저축은행 | NH FIC-One 보통예금 | 3.8% | 1억 원 | 조건 없음, 대형 자금 운용 가능 |
- OK저축은행 OK짠테크통장Ⅱ: 예치금 50만 원 이하에 **7.2%**의 최고금리를 제공합니다. 50만 원 초과분은 3.3%~2.5%의 금리가 적용되어, 소액 자산가에게 특히 유리합니다.
- OK파킹플렉스통장: 500만 원 이하에서 3.3%, 3억 원까지 2.8%, 초과 시 1.0%가 적용되어, 고액 운용에 적합합니다.
- 토스뱅크 통장(5천만 원 한도): 조건 없이 전 잔액에 3.5% 고정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선택률이 높습니다.
- 에큐온저축은행 머니 모으기: 1,000만 원 한도에서 **5.0%**의 금리를 제공합니다.
- 모니모 파킹통장: 100만 원 한도에서 3.0% 금리로, 소액 관리에 적절합니다.
-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: 1억 원까지 자유롭게 입·출금하며 2.1~2.5% 금리가 적용됩니다.
- DB저축은행 M-Dream Big 파킹통장: 조건 없이 5,000만 원까지 4.0% 금리 적용.
- NH저축은행 NH FIC-One 보통예금: 1억 원까지 3.8% 금리로 고액 예치 자금에 적합.
파킹통장 금리 정책 및 부가조건
- 저축은행계 파킹통장: 대체로 3~7%대 고금리와 소액 한도(수십~수백만 원) 위주, 조건 충족 시 우대금리가 붙는 구조.
- 시중은행/인터넷은행: 금리는 다소 낮지만 예금자보호(5,000만 원) 및 안정성, 넉넉한 한도와 편리성이 장점.
- 이자 지급 방식: 대다수 상품이 하루 단위 이자 계산 후 월말 지급 or 특정일 일괄 지급(OK저축은행 등).
- 과세: **이자소득세 15.4%**가 적용되어, 이자 수령액은 세후 기준으로 확인 필요.
파킹통장 선택 시 체크사항
- 금리 차등구조 숙지(소액 한도 및 초과 시 금리 하락 유의)
- 급여 이체·마케팅 동의 등 우대조건 체크
- 예금자보호한도 5,000만 원(1인당 당행 기준) 초과자산은 분산 필요
- 이체/출금 한도 일부 앱기반 통장(모니모 등)은 일일·월간 한도 있음
파킹통장 이자 비교
- OK저축은행 OK짠테크통장Ⅱ에 50만 원 예치 시 월 이자:
- 연 7.2% = 월 약 3,000원(세전 기준)
- 토스뱅크 통장에 3,000만 원 예치 시 월 이자:
- 연 3.5% = 월 약 87,500원(세전 기준)
2025년 파킹통장 금리 트렌드
- 7%를 넘나드는 소액 파킹통장(OK저축은행 등)부터,1억 원까지 적용되는 대형 한도 저축은행 통장(DB저축은행, NH저축은행 등), 간편 앱기반 통장(토스, 카카오, 모니모, 케이뱅크 등) 등 상품이 다양화·고금리화되고 있습니다.
- 예치 금액, 상품 보장 및 편의성, 정기 예적금과의 비교를 통해 본인 상황에 최적화된 파킹통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파킹통장의 금리는 수시 변동되므로, 실제 가입 전 은행 공식 홈페이지와 상품 안내서를 꼭 재확인하시길 권장합니다.
01234567
01234567891011121314